카카오 애드핏을 단지 벌써 3개월 정도 됐습니다.
하지만 수익은 너무 미비한데요.
현재까지의 총 수익은 1677원입니다.
그래도 언젠간 있을 카카오 애드핏 적립금 지급 요청을 위해 그 기준에 대해서 알아봤어요.
너무 이르긴 하지만 얼마 이상 돼야 출금이 가능한지 궁금했거든요.
사실 카카오 애드핏 달고나서 티스토리 로그인 후 매일 얼마가 쌓였는지만 확인하고 지급 기준은 확인을 안 했었어요.
네이버 애드포스트의 경우에는 5천 원 이상 쌓이면 네이버 포인트로도 신청 가능하고 출금도 가능해서 비슷할 줄 알았는데 카카오 애드핏은 지급 기준 금액이 더 높네요.
저의 카카오 애드핏 적립금은 위에서 말했듯 총 1677원이에요.
너무 적은 금액이죠.
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광고 요청수는 8222, 광고 노출수는 7120, 클릭수는 0입니다.
노출이 7천이 넘는데 클릭수가 0이라니..
클릭수가 0인데 예상 적립금이 있는데 이건 어떻게 산정이 된 금액인지 잘 모르겠어요.
클릭을 하지 않아도 적립금이 쌓이는 것 같은데 어떤 방법으로 적립된지는 더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아요.
클릭수와 CTR, CPC는 0인데 Fill-rate, eCPM에는 숫자가 떠있어서 찾아봤어요.
CTR, CPC는 카카오 애드 핏 포함한 모든 광고에서 사용하는 용어라 여기서는 따로 정리는 안 할게요.
우선 'Fill-rate'에 대해 적어볼게요.
Fill-rate란 광고 요청 대비 실제 노출한 광고의 비율을 뜻합니다.
즉,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아요.
Fill-rate = 총 광고 노출수 / 총 광고 요청수
다음은 eCPM이에요.
'eCPM(Effective cost per 1000 impressions)'은 1,000회 노출 기준으로 얻을 수 있는 예상 광고 수익을 뜻합니다.
eCPM의 공식은 다음과 같아요.
eCPM = 총 광고 수익 / 총 광고 노출 수 x 1000
7월 1일부터 7월 14일까지의 광고 요청수는 7624, 광고 노출수는 6907, 클릭수는 50이네요.
7월이 아직 반이나 남은걸 생각하면 6월에 비해 엄청난 성장을 했다고 볼 수 있어요.
광고 클릭수도 발생을 하면서 eCPM도 6월에 비해 많이 높아졌네요.
저의 예상 적립금은 1677원, 확정 적립금은 0원입니다.
카카오 애드 핏의 적립금 지급은 5만 원 이상인 경우 10원 단위로 현금으로 지급을 요청할 수 있어요.
지급요청은 매월 21일부터 할 수 있으며 말일까지는 취소가 가능합니다.
지급 요청한 금액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취소 후 다시 요청하면 됩니다.
아마도 저는 내년이나 돼야 최초 출금 요청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.
'각종 정보 > SNS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애드센스 추가 승인 받는 방법 (21) | 2021.07.22 |
---|---|
카카오애드핏 챗봇 데일리 리포트 알림 설정하는 방법 (4) | 2021.07.20 |
티스토리 맞춤법 검사 시 완료 버튼 사라지는 오류 해결하는 방법 (2) | 2021.07.12 |
나의 구글 애드센스 광고 부정클릭 방지하는 방법 (6) | 2021.07.08 |
글자 수 세기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 쉽고 편하게 (4) | 2021.07.05 |
댓글